국내ㆍ사회ㆍ이슈/부동산스터디
-
[jd연구소] 서부라인(김포, 고양, 파주, 인천)은 왜 무너졌었나?국내ㆍ사회ㆍ이슈/부동산스터디 2020. 6. 10. 02:32
2008년 이후 가장 집값이 많이 떨어진 곳은 어디였는가? 소위 서부라인(김포, 고양, 파주, 인천)이다. 그럼 그들은 왜 무너졌나? 아파트의 공급폭탄이 떨어졌기 때문이다. 2008년도에는 어떤 일이 있었나? 놀라겠지만 충청지역까지 투기과열지구로 묶었다. 투기과열지구란 무엇인가? 분양권 당첨 이후 5년간 전매를 금지한다는 강력한 분양권 억제책이다. 수도권은 물론 미분양이 많은 지역인 지방까지도 전부 투기과열지구로 묶였다. 그럼 이런 조치로 많이 떨어졌는가? 아니다. 2008년 금융위기를 겪으며 떨어졌다.금융위기는 서울, 수도권, 지방을 가리지 않고 부동산 경기를 얼어붙게 하는데 강력한 영향을 줬다. 아마도 이 때는 부동산으로 돈 버는 일은 앞으로 없을 것이라고 부동산 전문가는 물론 그냥 일반인까지 인식하..
-
[오스틀로이드] 집을 팔아서 돈을 들고 있겠다구요?국내ㆍ사회ㆍ이슈/부동산스터디 2020. 6. 7. 22:50
제가 좋아하는 미드 '왕좌의 게임'에 자주 등장하는 대사가 있습니다. 겨울이 오고 있다(Winter is Coming) 그러나... 이미 겨울입니다(Winter is here) 여기저기서 경기가 나쁘다는 소리와 집을 팔아야 하냐는 말이 들립니다. 불과 몇달 전만해도 매수를 묻는 쪽지가 많았는데. 이제는 팔아야 하냐는 질문이 많습니다. 쪽지 답글에서 공유하고 싶은 글 위주로 간단하게 적어봤습니다. 1. 겨울은 견디는 것이지 피하는 게 아닙니다. 추운 겨울이 지나면 봄이 온다는 것을 누구나 알고 있지만 피하지 않고 견뎌낸 끝이란 걸 우리는 간과하곤 합니다. 집 한 채인 분들께서 융자 얻어서 집을 샀는데. 집값 오를 땐 잘 했다고 생각하다가 내린다니까 빨리 팔아서 융자 갚고 나머진 전세 살면서 들고 있다가 오..
-
[오스틀로이드] 부동산을 선택하는 중요한 조건들국내ㆍ사회ㆍ이슈/부동산스터디 2020. 4. 29. 16:28
가끔 붇카페를 통해서 제 블로그로 들어오시는 분들이 계시네요. 질문을 하시는 분들도 계시구요. 그런데 제 블로그는 집이나 교육 이야기와는 무관하게 좋아하는 시(詩)를 모으고 독서 리뷰나 문화 행사 후기 등 제 느낌과 삶의 행적을 남기는 일기장같은 공간이었습니다. 소통 공간이라기보다는 내가 나를 기억하려는 공간이었죠. 정장을 입고 사람을 대하는 것이 아닌 잠옷 바람으로 왔다갔다 하는 무방비 공간이라고나 할까요? 그렇게 10년 정도 이어온 블로그인데 작년에 신반포 한 아파트를 산 이후 뜻하지 않게 재건축에 개입되어 맘고생을 많이 하면서 지금은 대부분 지난 기록들을 비공개로 돌리고 사진만 몇장 올리는 형태로 명맥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제 블로그에 부동산 관련 글은 아직 하나도 올린 적이 없구요. 이유는 아직까..
-
[오스틀로이드] 강남 교육 환경이 두려워 강남으로 이사가 망설여진다구요?국내ㆍ사회ㆍ이슈/부동산스터디 2020. 4. 29. 16:05
어젯밤 댓글에 대한 답글 적은 거 길어져서 원글로 올려봅니다 지난 글에서 제가 강남 아파트와 교육에 대해 언급한 것은, 교육과 투자 2가지 면에서 강남 진입을 계획하는 분들이 강남 아이들의 선행 교육에 대해 지나치게 겁먹고 두려워하면서 자기 아이들이 잘 적응하지 못할까 두려워하는 쪽지글에 대해 너무 겁 먹을 필요없다는 답글 드린 것이었습니다. 결론은, 어릴 때 받아들이는 지식은 한계가 있어서 한 과목에 과한 비용과 시간을 쏟지말고 적절한 수준에서 이루어지길 바란다는 것이구요. 대신 나중에 공부를 잘 할 수 있는 사고력과 어휘력 그리고 경험의 폭을 넓혀 주면 좋겠다는 말씀이었습니다. 1. 학원 레벨이 높다고 영어를 잘하는 것은 아닙니다. 저 역시 아이를 영유엘 보냈습니다. ECC, 원더 랜드, 키즈 컬리지..
-
[오스틀로이드] 10억으로 강남 아파트 매수하기국내ㆍ사회ㆍ이슈/부동산스터디 2020. 4. 28. 11:28
오늘 아침에 2통의 쪽지가 왔습니다. 공교롭게도 비슷한 내용이라 함께 고민해보고자 글 올려봅니다. 아이가 각각 1명, 2명인 30대 젊은 무주택자 두 분인데 (한 분은 강남, 또 한 분은 외곽 거주) 아이 교육을 감안, 정착하기 위해 강남에 아파트를 사려고 하는데 약 10억 정도 현금으로 어딜 사는 게 좋을까요? 원하는 것은, 교육 / 투자 가치 2가지 조건입니다. 외곽에 살고 있는 워킹맘께선 영유부터 시작하는 아이들이 많은 대치동은 자신이 없다고 합니다. * 영유: 영어유치원 일단, 제 생각을 말씀 드려보겠습니다. 레버리지를 실현 가능한 범위 내에서 가용 금액보다 오버해서 샀으면 합니다. 두분 모두 맞벌이고 한창 경제활동이 왕성한 시기라 이자와 원금 상환 고려해서 최대한 가능한 범위 내에서 매매가 이루..
-
[오스틀로이드] 위기에 응하는 여러가지 형태국내ㆍ사회ㆍ이슈/부동산스터디 2020. 4. 28. 11:08
지난 한 주일 잘 지내셨어요? 날씨가 추워지니 자꾸 움츠려들며 따뜻한 곳으로 스며들고만 싶네요. 이런 때일수록 어깨를 펴고 움직여보려고 노력해야 할 것 같아요 영화 '국가 부도의 날'을 보고 왔어요. 1997년 겨울 시작된 IMF 사태가 소재가 된 영화입니다. 김영삼 대통령 문민정부 말기 OECD가입, 경제선진국에 합류했다고 들뜬 분위기 속에 찾아온 외환 위기. 사상초유의 국가 경제 위기 상황에서 IMF 구제금융을 통해서 외환 위기 사태를 수습하고자 하였으나.... 국제기구인 IMF는 미국의 이익을 대변하는 포지션으로 매우 불리한 협상 조건을 내세우고 이에 대응하는 사람들의 방식이 각각 다릅니다. 1. 최악의 상황을 막으려는 사람 2. 자신과 일부의 이익을 위해 다수의 피해를 불사하는 사람 3. 위기는 ..
-
[오스틀로이드] 집을 팔아야 하나 버텨야 하나국내ㆍ사회ㆍ이슈/부동산스터디 2020. 4. 27. 05:02
얼마 전 아는 한 엄마가 대치동 일타 강사 접수하느라 한 나절을 줄 서서 기다렸다고 하더군요. 대체 어떤 강사길래? 이름을 듣고 깜짝 놀랐습니다. 예전에 우리 아이 고3 때, 계속 폐강되던 강사였기 때문입니다. 실력이 있는 강사는 분명하지만 이상하게도 계속 폐강돼서 몇몇 아이들이 팀을 짜서 고3 때 수강료 맞추면서 겨우겨우 파이널을 끝냈던 강사였습니다. 그러던 그 강사님이 이젠 한 강의당 2~3백 명까지 수강한다고 합니다. 1. 지금은 트랜드 시대 대치동을 리드하는 유명학원에 대형 자본이 들어오면서부터 실장들이 입소문으로 이끌던 때와 국면이 전환되는 느낌입니다. 버스 안팎, 정류소, 지하철 등등 광고 폭탄에서부터 중소학원들과 경쟁이 안 됩니다. 그리고 각지역을 대표하는 톡방이나 카페 등에 오르내려야만 수..
-
[오스틀로이드] 서울 아파트 마지막 기회가 온다국내ㆍ사회ㆍ이슈/부동산스터디 2020. 4. 27. 04:38
안녕하세요? 날씨가 많이 추워졌네요. 그에 못지 않게 부동산 경기도 꽁꽁 얼어붙었은 것 같구요. 잠시 쉬어가는 것인가? 하락으로 가는 중인가? 톡방, 카페, 부동산 전망 강의 모두 이에 대한 이야기들 뿐이네요. 작년 올해 집값 오를 때는, 한번 더 깊은 하락기가 와서 '싼값에 집 좀 샀으면 좋겠다' 생각했었는데... 남들 안 쳐다볼 떈 들고 있던 것도 버리고 싶은 마음이니 참 간사한 마음입니다. 그럼 우리는 지금, 어떤 곡선의 구간에 머물러 있을까요? 여러가지 근거로 전망은 분분하지만 아무도 확실히 알 수가 없습니다. 이에 본 카페 고수님이신 삼토시(samtoshi)님께서 얼마 전 발간하신 '서울 아파트 마지막 기회가 온다'란 책을 소개하며 함께 이야기 나눠보고자 합니다. 사실은... 삼토시님과 댓글 주..
-
[오스틀로이드] 부동산 부자들도 실패의 경험이 있습니다.국내ㆍ사회ㆍ이슈/부동산스터디 2020. 4. 27. 04:06
가끔 어떤 분들께선 어디가 집값이 오를 것 같으냐고 의견을 묻는 쪽지를 보내시곤 합니다. 물론 저는 알지도 못할 뿐더러 안다고 해도 알려드리지는 못합니다. 저의 판단은, 제 경험 내에서 만들어진 저만의 촉과 감일 뿐 검증된 아무 이론적 근거가 없기에 타인의 수억 재산에 영향을 끼치기엔 조심스럽기 때문입니다. 직관은, 5개의 감각을 넘어선 '육감'(six sense)이라고 합니다. 모든 통계나 그래프가 앞으로 집값이 내릴 거라고 해도 왠지 사고 싶어서 산 집이 최저점에 사서 효자 노릇하기도 합니다. 그런데 알고 보면 '직관'이란, 경험의 축적이 만들어 낸 '고도의 논리'라고 할 수 있습니다. 미래를 예측하는 자료로 요즘 많이 쓰이는 빅데이터도 수많은 경험들이 쌓여서 수치화돼서 나타난 것이라고 합니다. 유명..
-
[오스틀로이드] 강남 재건축에 대한 잡념국내ㆍ사회ㆍ이슈/부동산스터디 2020. 4. 25. 05:48
어제 어떤 분께서 이런 댓글을 주셨습니다. 돈과 부가 진정한 목표가 아니다. 주어진 소임을 열심히 하고 노력하면 따라와 주는 부산물인 것이다. 틈틈이 부동산 및 경제 전반을 공부하고 기회되면 실행에 옮기고 즐기는 것 즐기는 사람을 이길 수 없다고 생각한다. 이 글을 보곤 무슨 배부른 소리냐고 말씀 하시는 분도 계실겁니다. 그러나 저는 진심으로 이 분 말씀에 공감합니다. 물론 부동산 전문가분들께선 그 자체가 업이니까 시간의 대부분을 이에 몰입하는 것이 당연하다고 봅니다. 그러나 우리같은 사람들에게 부동산 투자는 삶의 일부분일뿐입니다. 아이 키우고 직장 다니고 운동하고 친지들 만나고 독서하고... 무수한 삶의 행위처럼 부동산 공부와 투자도 우리 삶의 일부분일 뿐입니다. 좀 더 자유롭고 풍요로운 삶을 누리기 ..